시편 88편은 시편 중에서 가장 비통한 심정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 시는 시인이 겪고 있는 고통이 얼마나 심한지를 상상할 수 있게 합니다.
시편 88:1-18
1 여호와 내 구원의 하나님이여 내가 주야로 주 앞에서 부르짖었사오니
2 나의 기도가 주 앞에 이르게 하시며 나의 부르짖음에 주의 귀를 기울여 주소서
3 무릇 나의 영혼에는 재난이 가득하며 나의 생명은 스올에 가까웠사오니
4 나는 무덤에 내려가는 자 같이 인정되고 힘없는 용사와 같으며
5 죽은 자 중에 던져진 바 되었으며 죽임을 당하여 무덤에 누운 자 같으니이다 주께서 그들을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시니 그들은 주의 손에서 끊어진 자니이다
6 주께서 나를 깊은 웅덩이와 어둡고 음침한 곳에 두셨사오며
7 주의 노가 나를 심히 누르시고 주의 모든 파도가 나를 괴롭게 하셨나이다 (셀라)
8 주께서 내가 아는 자를 내게서 멀리 떠나게 하시고 나를 그들에게 가증한 것이 되게 하셨사오니 나는 갇혀서 나갈 수 없게 되었나이다
9 곤란으로 말미암아 내 눈이 쇠하였나이다 여호와여 내가 매일 주를 부르며 주를 향하여 나의 두 손을 들었나이다
10 주께서 죽은 자에게 기이한 일을 보이시겠나이까 유령들이 일어나 주를 찬송하리이까 (셀라)
11 주의 인자하심을 무덤에서, 주의 성실하심을 멸망 중에서 선포할 수 있으리이까
12 흑암 중에서 주의 기적과 잊음의 땅에서 주의 공의를 알 수 있으리이까
13 여호와여 오직 내가 주께 부르짖었사오니 아침에 나의 기도가 주의 앞에 이르리이다
14 여호와여 어찌하여 나의 영혼을 버리시며 어찌하여 주의 얼굴을 내게서 숨기시나이까
15 내가 어릴 적부터 고난을 당하여 죽게 되었사오며 주께서 두렵게 하실 때에 당황하였나이다
16 주의 진노가 내게 넘치고 주의 두려움이 나를 끊었나이다
17 이런 일이 물 같이 종일 나를 에우며 함께 나를 둘러쌌나이다
18 주는 내게서 사랑하는 자와 친구를 멀리 떠나게 하시며 내가 아는 자를 흑암에 두셨나이다
시인은 현재 중병에 걸려있습니다. 시인은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도 운명을 저주하지 않고 도리어 강렬한 신앙의 고백을 하고 있습니다. 시인은 생명의 위협을 느끼는 육체적 고통, 하나님의 진노로 인한 신앙적 고통, 친구들의 배신으로 인한 사회적 고통을 모두 느끼고 있습니다. 이는 마치 욥의 경우와 비슷합니다. 시인은 모든 것으로부터 소외당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고통 중에도 기도 생활을 지속하였으니 이는 곧 그의 의지적인 신앙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시인에게 행하신 일은 무엇입니까? (6~7절)
지금 내게 견딜 수 없는 고통이 있는데도 기도하기를 게을리하지는 않는지 생각해 봅시다.
고통 중의 기도
이 시는 시편 중에서도 가장 심한 고통을 호소하는 '탄식 시' 중의 하나입니다. 고통의 호소만 있을 뿐 자신을 괴롭히는 원수를 벌해 주시기를 애원하는 구절은 나오지 않습니다. 다만 철저한 탄식과 고난의 호소만이 강조되어 구절마다 읽는 사람에게 위기를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내용을 함께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1. 극심한 환란의 때 기도해야 합니다.
우리는 극도의 처절한 상황에 부닥쳤을 때 이와 같은 기도를 합니다. 비참한 고통 속에 빠졌을 때 그때가 바로 우리가 기도해야 할 때이기 때문입니다.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더 기도해야 할 이유가 되는 것입니다.
2. 솔직하게 아뢰고 하나님의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사람은 견딜 수 없는 고통과 고민을 안고 허덕이다가 심한 정신적 질환까지 앓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은 자신이 처한 상황 그대로를 하나님께 솔직히 아뢰고 도움을 간구해야 합니다.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고 그와 의논하지 않는다면 진실로 패망하고 말 것이기 때문입니다.
3. 눈물의 간구는 하나님의 마음을 움직이게 합니다.
히스기야 왕이 병들어 죽게 되었을 때, 그는 얼굴을 벽으로 향하고 하나님께 통곡하며 간절히 기도했습니다. 고통 가운데 부르짖는 자의 기도를 들으시는 하나님은 특히 눈물을 흘리면 탄원하는 고통 속에 있는 자의 기도에 귀를 기울이시는 분입니다.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약의 견고성 (2) | 2022.11.28 |
---|---|
주의 성실하심 (0) | 2022.11.27 |
다가올 우주적 왕국 (0) | 2022.11.23 |
순복의 신앙 (0) | 2022.11.23 |